
생명공학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 분야로서 인체를 포함한 동물, 식물 그리고 미생물 등의 세포 내에서 수행되는 생명체 활동의 기본 현상과 원리를 규명하고, 이를 인간에게 유익하게 응용하는 학문이다.
이렇게 다양하고 복잡한 생명현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과학적인 발견에 공학적인 시스템 및 응용원리를 접목하는 학문으로, 각종 질병 치료제 개발은 물론 생리활성물질, 화장품, 식품 및 의료와 환경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 다음은 생명공학과 진학에 도움이 되는 추천도서 리스트이다.
서명 저자명 생명공학의 세계 기초부터 전문지식까지 Reinhard Renneberg 이기적 유전자 리처드 도킨스 내일을 거세하는 생명공학 박병상 달콤한 생명과학 조진원, 정재승 과학혁명의 구조 토마스 쿤 생활 속의 생명과학 Colleen Belk 천재들의 과학노트 캐서린 쿨렌 이중나선 제임스 왓슨 창의적 공학설계 김은경 재미있는 나노과학기술 여행 김동화 바이오테크 시대 제레미 리프킨 클라우스 슈밥의 '제 4차 산업혁명' 클라우스 슈밥 챗GPT : 마침내 찾아온 특이점 반병현 휴먼 임팩트 앤드루 가우디 AI의 미래 생각하는 기계 토비 윌시 생명공학으로의 초대 Ray V. Herren 생명공학기술과 바이오산업 김승욱 엔트로피 제레미 리프킨 생명은 판도라다 김응빈 총균쇠 재레드 다이아몬드 객관성의 칼날 찰스 길리스피 세상의 모든 원소 118 시어도어 그레이 수학사 하워드 이브스 나노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이인식 1.4킬로그램의 우주, 뇌 정재승 부분과 전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철학적 질문 과학적 대답 김희준 |
*에듀진 기사 URL :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159
'교육정보 > 고등, 대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균관대, 2025학년도 수시모집 2410명 선발 (5) | 2024.08.31 |
---|---|
고2 사회탐구 내신대비 공부방법 (6) | 2024.08.30 |
2024 학종 면접형 vs 서류형, 경쟁률에 어떤 차이 있었나? (0) | 2024.08.30 |
학생부교과전형 지원자 '필수 점검 사항 4가지' (0) | 2024.08.29 |
[학종 준비 TIP] 낮은 내신, 학생부 기록으로 만회하는 방법 (0) | 2024.08.28 |